Track3 인프라 건설·유지 공학 전공

Track3
교과구분 교과목 코드 교과목명 학점 및 시수 교과목 개요 비고
전선 243059 인프라건설공학개론
(Introduction to Infra- Structure Engineering)
3-3-0 인프라 시설물의 효율적인 건설 및 유지관리 업무수행을 위해 생애주기적 인프라 정보 관리능력을 배양한다. 이를 위해 건설단계별로 연계된 최신 기술을 학습하고, 기술선도 관련 기관·산업계와 연계한 현장사례 중심의 실습형 세미나를 진행한다. 융복합형
전공기초
전선 243044 회복력기반인프라구조설계
(Resilience-based Design of Infrastructures)
3-3-0 회복력기반 설계에 대한 기본 원리 및 적용 방법을 습득하여 기반시설이 지진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는 기초 능력을 획득  
전선 243049 인프라구조 취약도평가
(Fragility Assesement of Infrastructure)
3-3-0 인프라구조의 지진취약도 평가와 관련한 모델링 및 해석 방법을 습득  
전선 243053 구조공학을 위한 탄소성론
(Elasticity & Plasticity for Structural Engineer)
3-3-0 구조재료에 대한 3차원의 탄성과 소성거동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수식화하여 구조공학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케 함  
전선 243054 강합성 프리팹 구조공학
(Structural Engineering for Prefabricated Steel-Concrete Composite Member)
3-3-0 Off-site construction의 이해를 바탕으로 선제작(프리팹) 강합성 부재에 대한 기본적인 구조거동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강합성 프리팹 부재의 설계 및 응용능력을 학습함  
전선 243055 고급궤도공학
(Advanced Track Engineering)
3-3-0 철도 궤도역학의 기본 지식을 바탕으로 궤도 선형, 자갈궤도 및 콘크리트 궤도의 설계 및 장대레일의 거동에 대한 심화된 지식을 습득하고 더 나아가 현대 궤도시스템의 이해와 궤도연구를 능력을 함양케 함  
전선 243056 제로 에너지 빌딩 계획
(Zero Energy Building Plan)
3-3-0 제로 에너지 빌딩 계획에 대해 소개한다. 주택, 학교, 오피스 등 기존 건물에 대해 제로 에너지 개념을 설계하는 단계별 어프로치를 학습하고, 패시브 디자인과 액티브 시스템의 최적 조합에 대해 검토한다.  
전선 243057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3-3-0 건물 에너지 시스템의 효율적인 제어 전략에 대한 개요를 제공한다. 공조, 반송, 조명 설비 등에 대한 제어 전략이 포함되며, 이를 위한 제어 이론을 다루게 된다.  
전선 243058 빌딩 에너지 수요 관리
(Energy Demand Flexibility in Buildings)
3-3-0 건물 에너지 관리 실행을 위한 전략을 학습한다. measurement and verification 과정에 대한 계획, 데이터 수집 도구 및 방법, 세이빙 추정 등을 다루게 된다.  
전선 243060 에너지자원 원격탐사
(Remote Sensing for Energy Resources)
3-3-0 인공위성, 항공기, 드론 및 기타 다양한 비접촉 센서를 이용한 원격탐사 기술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을 습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인프라 취약지역의 에너지자원 개발에 초점을 맞춰 원격탐사 기법을 실무적으로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전선 243218 구조동역학개론
(Introduction to Structural Dynamics)
3-3-0 인프라 구조의 동적 특성을 이해하고 동적 거동을 수치적으로 모델링하여 다양한 하중조건에 대한 응답을 구하는 방법을 습득  
전선 243219 인프라구조를 위한 지진공학
(Earthquake Engineering for Infra Structures)
3-3-0 지진 발생 원인으로부터 인프라구조가 지진에 저항하는 메커니즘까지 지진과 인프라구조가 관련된 다양한 주제들을 이해  
전선 243220 건설재료의 환경영향평가
(Assessment of enviromental impact of construction material)
3-3-0 life cycle assessment방법을 통하여 콘크리트, 철근, 벽돌 등 건설재료의 CO2 배출량 분석 및 CO2 배출량 절감 방법  
전선 243221 건설재료의 최적화 설계
(optimal design of construction material)
3-3-0 인공신경망, 요전 알고리즘, 딥런닝 등 인공지능 방법을 통하여 시멘트 계 재료의 최적화 설계  
전선 243222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내구성 설계
(durability design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3-3-0 염해, 탄산화, 철근부식, 동결융해 등 내구성 문제의 발생원인, 설계기준 및 내구수명 평가 방법  
전선 243223 콘크리트의 미세구조 분석
(microstructure analysis of concrete)
3-3-0 콘크리트, 몰탈 및 페이스트의 수화 생성물 분석, 공극구조 측정 및 multi-scaling 실험 방법  
전선 243224 기후 변화에 따른 건설 재료 설계
(climate change-based construction material design)
3-3-0 기후 변화 scenario를 고려한 철근 콘크리트의 내구수명 평가, 보수 시기 예측 및 life cycle cost 계산  
전선 243225 친환경 건설 재료 설계
(environmental friendly construction material design)
3-3-0 co2 양생 방법을 통하여 건설 재료 생산 기술, 내구성 설계 방법, 내구수명 예측 프로그램 개발  
전선 243226 국토공간 빅데이터분석
(Geo-Spatial Big Data Analysis)
3-3-0 공공부문에서 축척해온 행정정보와 SNS, 인터넷 등의 민간부분 빅데이터를 공간정보와 융합한 공간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위치 및 지역에 기반한 맞춤형 국토정책 및 국토활용 계획 수립에 활용하기 위한 이론 및 응용지식을 학습한다.  
전선 243227 스마트건설공학개론
(Introduction to Smart Construction)
3-3-0 전통적인 건설기술에 ICT 등 첨단 스마트기술을 적용하여 건설공사의 생산성, 안정성, 품질 등을 향상하고, 건설공사 전 단계별 디지털화, 자동화, 공장제작 등에 활용하기 위한 스마트건설기술에 대한 기초지식을 학습한다.  
전선 243239 해양지반공학
(Offshore Geotechnical Engineering)
3-3-0 해양지반의 특성에 대해 이해하고, 해양구조물의 설계법, 설계시 고려사항, 관련기준 및 국내외 설계사례를 학습한다.  
전선 243240 지반조사 및 현장계측
(Site investigations and Field Measurements)
3-3-0 구조물 설계시 현장지반의 특성평가가 중요하며, 이를 위해 실내실험, 현장실험이 수행된다. 실내실험의 경우, 삼축실험, 공진주시험 등이 주요하게 다뤄지며, 현장실험은 표준관입시험, 콘관입시험, 비파괴시험 등이 요구된다. 본 과정에서는 실내 및 현장에서 이뤄지는 지반조사기법에 대해 연구한다.  
전선 243241 지반동역학
(Soil Dynamics)
3-3-0 동역학은 매체에 동적 하중이 작용할 때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학문이다. 본 교과목에서는 지반에 지진 또는 동적하중이 재하될 때 지반의 거동현상을 이해하고자한다. 이를 위해 동역학의 원리 및 지반지진공학, 국내 내진설계 기준과 액상화 평가에 대해 연구한다.  
전선 243242 지반 물리모델링 및 실습
(Physical Modelling for Geotechnical Engineering)
3-3-0 물리모델링은 실제 구조물을 축소제작하여 실제 거동과 유사한 현상을 관측하기 위해 수행된다. 본 교과목에서는 실제 지반구조물의 거동을 평가하기 위해 적용되는 물리모델링 기법과 계측기술을 학습하고, 실제 모델링 실습을 통해 지반구조물 설계검증을 연구한다.  
전선 243243 고급기초공학
(Advanced Foundation Engineering)
3-3-0 상부구조물을 안전하게 지지하기 위해서는 안전한 기초설계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지반조건을 반영한 기초설계기술이 요구된다. 기초는 크게 얕은기초와 깊은기초로 나뉘며, 지반조건에 따라 기초의 설계방법이 달라진다. 본 교과목에서는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얕은기초와 깊은기초의 설계기술을 검토하고, 관련 기준 및 설계사례를 연구한다.  
전선 243244 건축기술 및 재료특론
(Construction materials and technology)
3-3-0 건축생산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콘크리트를 중심으로 각종 건축재료들의 물성 및 역학적 성능을 탐구한다. 건축재료의 합리적인 사용과 선택을 통한 원가절감, 공기단축, 친환경 건설기술의 개발 등의 능력을 함양케 한다.  
전선 243245 건축재료내구성특론
(Durability of construction materials)
3-3-0 대표적인 건축재료, 콘크리트와 철근을 대상으로 내구성 향상기술, 내구수명 예측기술, 건축물의 장수명화 등을 교육할 목적으로 최신 국제논문 리뷰, 단체토론, 강의 등을 복합적으로 진행한다.  
전선 243246 건축재료의 미세구조
(Microstructure of construction materials)
3-3-0 콘크리트를 구성하는 페이스트메트릭스의 수화생성물, 골재, ITZ 등의 마이크로-나노스케일 미세구조 분석을 위한 이론교육 및 실험실습을 진행한다.  
전선 243247 친환경 고성능 건축재료
(High-performance materials in construction)
3-3-0 3D 프린팅 콘크리트, 공학목재, 스마트유리 등 친환경 고성능 건축재료의 성능 및 적용 등을 강술하고 관련 논문 스터디를 진행한다.  
전선 243248 콘트리트 구조물 유지관리 및 보수기술
(Maintenance and repair of concrete structures)
3-3-0 콘크리트 구조물의 유지관리 및 진단 기술에 대해 이해하고 이에 대응하는 보수, 보강 기술에 대한 이론을 습득한다.  
전선 243249 도시 에너지 모델링
(Urban energy modeling)
3-3-0 도시 에너지 모델링이랑 도시 내 건축물의 에너지 소비가 결정되는 원리가 가지는 수학적 구조를 기술하는 과정이다. 본 수업에서는 도시레벨의 에너지 분석을 지원하는 수치해석기법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한다.  
전선 243250 빌딩 에너지 시뮬레이션
(Modelling Methods for building energy simulation)
3-3-0 에너지 소비 주체로서의 건축물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을 배운다. 건축설비 구성 및 제어, 그리고 이와 관련한 에너지, 열 및 유체 흐름 문제를 모델링하기 위한 다양한 최신 방법에 대한 내용이 포함된다.  
전선 243251 쾌적한 건축환경의 메커니즘
(Comfort and health in buildings)
3-3-0 인간에게 쾌적한 환경을 정의하는 것은 건축설비 분야의 기초이다. 본 수업을 통해 실내열쾌적 공기질을 보장하는 방법과 이러한 요소가 건축설계 및 건축설비와의 관련성을 배운다.  
전선 243252 스마트건설공학특론
(Advanced Smart Construction Engineering)
3-3-0 본 과목에서는 스마트건설 기술에 필수적으로 활용되는 다양한 위치정보 센서들에 대한 특성과 선정방법, 데이터 획득, 측정 이론, 측정 노이즈, 신호처리를 위한 필터링 기법 등을 소개함. 또한 위치정보 센서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건설, 환경 및 방재 분야의 측정,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고 데이터를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선 243253 건설BIM개론
(Introduction to Infra BIM)
3-3-0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에 대한 기본 개념과 관련 핵심기술들의 이해를 증진하고, 사회기반시설 생애주기(계획-설계-시공-운영 및 유지괸리)에 전반적으로 적용 가능한 건설 BIM 기술들 이해 및 관련 실무능력 함양을 목적으로 한다.  
전선 243254 E-GIS 공간분석과 활용
(Energy-GIS Geo-Spatial Analysis & Application)
3-3-0 에너지자원 분야에 특화된 E-GIS 시스템의 정의 및 발달과정, 공간자료의 수집, 공간데이터베이스의 구축, 공간처리와 분석 및 모델링, E-GIS의 응용분야 등 전반적인 내용을 강의하고 국내의 E-GIS 대표적 구축 사례를 분석함. 또한 에너지자원 분야를 위한 다양한 주제도 및 공간분석과 공간모델링 활용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선 243255 철근콘크리트 구조 설계
(Design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3-3-0 철근콘크리트로 건설된 구조물의 설계에 대해 학부과정에서 배운 내용 보다 더 진보한 고급 주제들을 다룬다.  
전선 243256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구조적 거동
(Structural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Members)
3-3-0 철근콘크리트 보 및 기둥 부재의 구조적 거동을 비선형 영역까지 확대하여 상세히 다룬다.  
전선 243257 인프라 구조를 위한 유한요소해석
(Finite element method for infra Structures)
3-3-0 인프라 구조의 효율적인 해석을 위한 1-D, 2-D 요소에 대한 유한요소해석 정식화 및 코딩을 통하여 유한요소해석의 원리를 이해하는데 교과목의 목적이 있음  
전선 243258 인프라 구조를 위한 구조물 안정론
(Structural stability for infra Structures)
3-3-0 구조재료의 발전으로 인프라구조물은 점차 세장해지고 있으며 세장한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는 구조 안정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본 교과에서는 기동, 보, 보-기동 부재에 대한 구조 안정성 검토 방법론에 대하여 학습한다.  

표를 움직일 수 있습니다.
터치후 표 확인

표를 좌우로 움직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